Park, Soyoung “The Figure of Nine Paradoxes-Ryo” Series | ||
박소영의 “아홉 혹은 아홉 아닌(九不像) – 려(麗)”씨리즈
Park, Soyoung “The Figure of Nine Paradoxes-Ryo” Series
나의 작품들 중 “아홉, 혹은 아홉 아닌” 즉 “구불상(九不像)-려(麗)”란 일련의 제목들은 1회 개인전의 주제인 “사불상(四不像)”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아버님의 영면 즈음 나의 꿈 속에 불현듯 나타난 어떤 상서로운 동물(瑞獸)이미지에 필자가 상상력과 현대적 해석을 더하여 만든 캐릭터이다.
그 근간이 된 사불상은 고대로부터 동아시아에서 상서롭게 여겨오던 동물이며, 놀랍게도 아직도 실존하는 동물이다. 사불상은 예로부터 신화적 상상의 동물을 닮아 신선 동물로서 간주되어왔다. 내 아버님께서 돌아가셨을 무렵 ‘사슴을 닮은 듯, 혹은 아닌 듯한 기이한 동물’이 동해바다와 설악산을 배경으로 나타난 꿈’을 꾸었다. 그 이후 내겐 그 꿈이 아버지의 염원으로 느껴져, 꿈속에서 본 그 ‘사슴을 닮았지만 사슴은 아닌’, 1속(屬) 1종(種), 즉 사불상속(四不橡屬)의 동북아시아산(産)의 대형세계신종사슴인 진귀한 그 동물의 의미를 수수께끼 풀 듯, 탐구하기 시작했는데, 사불상은 마치 현재의 우리의 모습 같기도 하고, 한편으론 우리가 닮아야 할 인간상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사불상은 발굽은 소, 머리는 말, 몸통과 꼬리는 당나귀, 뿔은 사슴을 닮았으면서도 그 어느 쪽도 아니란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라고 한다. 사불상은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상징되어 조선민화 등에서도 등장하다가 일제 때 거의 그 맥이 끊어진 듯하다. 박소영, 한국미술에서의 「사불상四不橡」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8
“우리나라에서 사불상이란 귀천없이 만민이 지향하는 이상적 인간상을 의미하였다. 어질면서 어리석게 행세하는 것이 一不이며,, 이름을 떨치면서 범인 행세하는 것이 二不이며, 공을 세웠으면서 내세우지 않는 것이 三不이“우리나라에서 사불상이란 귀천없이 만민이 지향하는 이상적 인간상을 의미하였다. 어질면서 어리석게 고, 정을 주고서도 나타내지 않음이 四不이다. 우리 역사에서 가장 이상적인 인물이 사불상이요, 그래서 사불상은 신선 동물로 여겨졌다.” 이규태, 사불상, 조선일보, 1994. 12. 13
려(麗)는 사불상의 상형문자다. 그러므로 나는 사불상이 동이족이라 일컬어진 우리 선조 문화에 그 뿌리를 둔 것이고, 고구려나 고려의 “려(麗)”란 글자도 그것과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나는 사불상을 초인격 심리학 관점에서도 생각한다. 그리고 오랜 과정을 거치며 더듬듯 오다보니, 어느덧 성경적 관점에 이르르게 되었다. 이 긴 여정은 “ 내 아버님께서 주신 마지막 선물이란 믿음” 때문에 포기하지 않을 수 있었다.
“구불상”은 내 자유로운 상상의 캐릭터로서, 무궁무진하다. 시대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신께로 다가가기를 염원하며, 나날이 거듭남으로서 성화되어가기를 염원하는 “진정한 자유를 향한 가변 혹은 불변의 형상”이다.
나는 “구불상”의 사슴뿔에 사랑꽃과 별을 주로 그려넣는데, 사랑은 생명의 잉태로서 여자, 별은 방향성으로서 남자를 상징한다. 뿔은 인류문명의 시작을 의미하는 불꽃(화염문), 사랑꽃이나 새싹, 등으로 발전하기도 하고, 구름무늬 날개를 달기도 하며, 무궁무진한 가능성의 세계로 날아오른다. 풀꽃 닮은 금강용(金剛龍)이 되기도 하고, 때론 우주로 비상하며 긴 꼬리를 지구에 드리우기도 한다.
내 그림 속 배경의 산은 현실의 이상향, 구름은 영혼의 이상향이다.
“어느 흙, 어느 땅, 어느 바람결…누구에겐가…살포시…다시 푸릇푸릇… 새싹 2018 새 봄, 한 알의 씨앗을 그리다.. “
2018년 3월에 붕당(鵬堂)에서 麗山 박소영(朴邵暎)
|
Howdy! I coᥙld have sworn I’ve visited this web ѕite before but after looking at many
of the posts Ӏ realized it’s new tto me. Regardleѕs, I’m definitely delіghted I came across it annd I’ll
bе booқ-marking іt and checking back often! https://bendsen67england.webgarden.cz/rubriky/bendsen67england-s-blog/alm-merchandise
LikeLike